반응형
1. 기본 공식 (3상 기준)
- Qc: 필요한 콘덴서 용량 (kVAR)
- P: 부하의 유효 전력 (kW)
- θ1: 개선 전 역률에 대한 각도
- θ2: 목표 전 역률에 대한 각도
- η: 효율 (일반적으로 1로 가정)
2. 주요 요소 설명:
- 역률(θ1, θ2): 역률은 전력 품질을 나타내며, cosθ1은 개선 전 역률, cosθ2는 목표 역률입니다.
- 역률 개선 목표: 전력 손실을 줄이고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역률을 개선합니다.
3. 실용 예시:
예시:
- 부하 전력 P=100kW
- 현재 역률 cosθ1 = 0.7 (θ1 ≈ 45.57°)
- 목표 역률 cosθ2 = 0.95 (θ2 ≈ 18.19°)
728x90
반응형
'전기 > 전기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교폴리에틸렌 (XLPE) 이란 ? (0) | 2025.01.17 |
---|---|
차단기에서 AF과 AT 란? (차단기용량) (0) | 2025.01.11 |
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단점 ( 역률 과보상 ) (0) | 2025.01.02 |
한류형 퓨즈 정의와 용도 및 예시 (0) | 2025.01.02 |
서지 크기에 따른 클래스 SPD 선택 (1) | 2024.12.23 |